티스토리 뷰
스팀 게임 실행 시 메모리 부족과 높은 CPU/GPU 점유율로 고민하시나요? 이 글에서는 Steam WebHelper 프로세스 관리부터 가상 메모리 최적화, 스팀 시작 옵션 설정까지 게임 성능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해결책을 알려드립니다. 시스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더 쾌적한 게임 환경을 만들어보세요.
스팀 메모리 사용량 문제 이해하기
스팀은 게이머들에게 필수적인 플랫폼이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모르는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스팀 클라이언트가 기본적으로 300MB 이상의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아도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시스템 리소스를 점유합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은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로드되면서 메모리를 점유하기 때문입니다. 이 프로세스는 스팀 스토어, 커뮤니티, 게임 라이브러리 등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로, 스팀의 웹 기반 인터페이스를 관리합니다.
평소 게임을 즐겨 하지만 메모리 부족에 시달리는 사용자라면, 스팀의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에 사용하지 않는 스팀이라도 백그라운드에 실행되어 있다면 상당한 용량의 메모리를 꾸준히 잡아먹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RAM이 충분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시스템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내용 자세히보기 👇👇👇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 관리
WebHelper 프로세스의 역할
Steam Client WebHelper는 스팀 클라이언트의 핵심 부분으로, 다른 더 복잡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준비를 담당합니다. 또한 업데이트를 설치하고 누락된 파일을 교체하여 기본 스팀 클라이언트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CPU 출력을 너무 많이 차지하지 않지만, 특정 상황에서 오작동하여 시스템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WebHelper 메모리 사용량 최소화 방법
과거에는 "-no-browser" 옵션을 사용해 "Steam 미니 게임 모드"로 실행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업데이트 이후에는 소형 모드에서도 WebHelper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메모리를 점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대안으로 WebHelper 프로세스를 제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웹 보기에서 GPU 가속 렌더링 비활성화
- 스팀을 열고 Steam 메뉴로 이동한 다음 '설정'을 선택
- 왼쪽 창에서 '인터페이스' 선택
- '웹 보기에서 GPU 가속 렌더링' 옵션의 선택을 취소하여 비활성화
- '확인'을 클릭하고 스팀 재시작
- 라이브러리를 기본 시작 창으로 사용
- 스팀을 열고 '설정' 선택
- '인터페이스'로 이동
- 시작 창으로 'Store' 대신 드롭다운 메뉴에서 'Library' 선택
- 스팀 재시작
- Steam 오버레이 비활성화
- 스팀 설정에서 '게임 내' 탭 선택
- '스팀 오버레이' 상태를 확인하고 비활성화
- 스팀 재시작
- WebHelper 최소화 배치 파일 생성
- 메모장을 실행하여 다음 명령을 입력:
"C:\Program Files (x86)\Steam\steam.exe" start -dev -console -nofriendsui -no-dwrite -nointro -nobigpicture -nofasthtml -nocrashmonitor -noshaders -no-shared-textures -disablehighdpi -cef-single-process -cef-in-process-gpu -single_core -cef -disable-d3d11 -cef-disable-sandbox -disable-winh264 -cef-force-32bit -no-cef-sandbox -vrdisable -cef-disable-breakpad
- 경로는 실제 스팀 설치 위치로 변경
- 파일을 .bat 확장자로 저장하고 실행
이 방법을 사용하면 WebHelper 프로세스가 단 한 개만 로드되고, 훨씬 적은 양의 메모리만 점유하게 됩니다.
메모리 부족 에러 해결 방법
게임 시작 시 '시스템 메모리 부족' 에러 메시지가 출력될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작업 관리자를 통한 리소스 확보
Ctrl + Shift + Esc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실행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불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합니다. 특히 크롬과 같은 브라우저는 여러 탭을 열어두면 많은 메모리를 소모하므로, 게임 실행 전에 종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상 메모리 설정 최적화
가상 메모리는 RAM이 부족할 때 하드 디스크 공간을 이용하여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최적화하면 메모리 부족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고급 탭 → 성능 → 설정 → 고급 → 가상 메모리 → 변경
- 본인의 RAM 크기의 최소 1.5배로 설정하고 저장
- 시스템 재부팅
드라이버 업데이트 및 최적화
- 최신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 사용하는 그래픽 카드의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및 설치
- 클린 설치 옵션을 선택하여 이전 드라이버의 흔적 제거
- Windows 업데이트 임시 저장소 제거
- Windows 키 + X → 실행 → services.msc 입력 → 확인
- 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 Cryptographic Services, Windows Update 서비스 중지
- C:\Windows 폴더에서 SoftwareDistribution 폴더 삭제
- C:\Windows\System32 폴더에서 catroot2 폴더 삭제
- 중지했던 서비스 다시 시작
- 디스크 검사 진행
- 명령 프롬프트(관리자)를 실행하여 chkdsk /r 명령 실행
- 재부팅 시 디스크 검사 수행
CPU/GPU 점유율 최적화 설정
스팀 게임이 높은 CPU 및 GPU 사용량을 보이는 경우,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 설정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CPU/GPU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엔비디아 제어판 → 3D 설정 관리 → 프로그램 설정
- 게임 선택 후 최대 프레임 속도를 60으로 제한
- 전원 관리 모드를 "최고 성능 선호"로 설정
이러한 설정을 통해 CPU 사용량은 약 30%, GPU 사용량은 40% 이상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게임 60프레임 제한 설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프레임이 무한정 올라가 리소스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DirectX 셰이더 캐시 정리
DirectX 관련 메모리 부족 오류(E_OUTOFMEMORY)가 발생할 경우, 셰이더 캐시를 정리하면 도움이 됩니다:
- 시작 검색창에 '디스크 정리'로 검색 후 실행
- C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정리 항목 중 DirectX 셰이더 캐시를 체크하고 확인
- 컴퓨터 재부팅 후 문제 해결 여부 확인
스팀 시작 옵션을 통한 성능 향상
스팀 게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강력한 방법 중 하나는 시작 옵션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CPU와 메모리 할당을 최적화하여 게임 프레임률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시작 옵션 설정 방법
- 스팀 라이브러리에서 최적화하고 싶은 게임 우클릭
- 속성 → 일반 탭 → 시작 옵션에 다음 명령어 입력:
-high -USEALLAVAILABLECORES -malloc=system -maxMem=메모리값 -maxVram=그래픽메모리값 -threads 스레드수
각 옵션의 의미와 설정 방법:
- -high: 게임의 CPU 우선 처리도를 최우선으로 설정
- -USEALLAVAILABLECORES: CPU의 모든 코어 사용 활성화
- -malloc=system: 메모리 부족 현상 방지를 위한 동적 메모리 할당 관리
- -maxMem=값: 게임에 RAM 강제 할당 (계산법: (RAM 용량-1)×1024)
- -maxVram=값: 게임에 그래픽 메모리 강제 할당 (계산법: (VRAM 용량-0.5)×1024)
- -threads 값: 게임에 CPU 스레드 수 강제 할당 (논리 프로세서 수 입력)
예를 들어, 16GB RAM, 8GB VRAM, 6코어 CPU의 경우:
-high -USEALLAVAILABLECORES -malloc=system -maxMem=15360 -maxVram=7680 -threads 6
이러한 설정을 통해 평균 10~30 프레임 정도의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중간 이하 사양의 PC에서 더 효과적입니다.
하드웨어 호환성과 병목 현상 해결
게임 성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하드웨어 구성 요소 간의 병목 현상입니다. 이는 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성능을 제한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CPU 병목 현상
CPU는 게임 플레이 중 모든 비그래픽 작업을 처리합니다. 게임 로직, AI 동작, 물리 계산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CPU가 최대 성능으로 작동하는 반면 GPU의 활용도가 낮으면 CPU 병목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끊김 현상, 초당 프레임 수(FPS) 저하 및 전반적인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특히 오픈 월드 RPG와 같이 CPU를 많이 사용하는 게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GPU 병목 현상
GPU는 게임의 그래픽 렌더링을 처리합니다. 텍스처, 그림자, 조명 등 시각적 요소를 담당합니다. GPU 병목 현상은 GPU가 최대치에 도달한 반면 CPU는 여전히 여유가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고해상도 텍스처와 복잡한 그래픽을 요구하는 최신 게임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해결책으로는 게임의 그래픽 설정을 낮추거나, GPU 업그레이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
스팀 게임의 메모리 부족 문제와 CPU/GPU 점유율 최적화는 여러 단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Steam Client WebHelper 프로세스 관리부터 가상 메모리 설정, 스팀 시작 옵션 설정까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면 게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시스템 사양이 게임 권장 사양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최적화 기법은 더욱 중요합니다. 게임별로 최적의 설정값을 찾아 적용하고, 정기적으로 드라이버와 시스템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재 사용 중인 PC 환경에 맞는 적절한 최적화 방법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모든 PC에 동일한 해결책이 효과적인 것은 아니므로, 여러 방법을 시도해보고 자신의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설정을 찾아보세요.
이렇게 최적화된 환경에서 더 쾌적하고 즐거운 게임 플레이가 가능해질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스팀 게임 실행 시 메모리 부족 에러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 주로 시스템의 물리적 메모리(RAM) 부족, WebHelper 프로세스의 과도한 메모리 사용, 가상 메모리 설정 미흡,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등이 원인입니다. 또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다른 프로그램들이 메모리를 점유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Q: 게임 성능이 좋지 않을 때 CPU와 GPU 중 어떤 부분을 업그레이드해야 할까요?
A: 작업 관리자에서 CPU와 GPU 사용률을 확인해보세요. CPU 사용률이 높고 GPU 사용률이 낮다면 CPU 병목 현상이므로 CPU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반대로 GPU 사용률이 100%에 가깝다면 GPU 업그레이드가 효과적입니다. 또한 RAM이 8GB 이하라면 RAM 업그레이드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Q: 스팀 배치 파일 생성 후 게임이 오프라인 모드로만 실행되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A: 배치 파일은 원본 스팀 파일을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 모드 문제는 다른 원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스팀을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하거나, 배치 파일을 삭제하고 스팀 설정에서 '자동 로그인' 옵션을 확인해보세요. 문제가 지속된다면 스팀 클라이언트를 재설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Q: DirectX 메모리 부족 오류(E_OUTOFMEMORY)는 어떻게 해결하나요?
A: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 가상 메모리 설정 최적화, DirectX 셰이더 캐시 정리, 게임 파일 무결성 검사를 진행해보세요. 또한 인게임 그래픽 설정에서 텍스처 품질을 낮추고 추가 시각 효과를 비활성화하면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